교구장 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구장 주교는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교회를 관할하는 주교를 의미한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구장 주교는 교황의 임명을 받으며, 교구 내 교도직, 사제직, 사목직을 수행한다. 성공회에서는 교구의회 선거로 교구장을 선출하며, 대한성공회는 65세를 정년으로 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아르키에레우스'라는 용어로 교구 주교를 지칭하며, 이는 사제직의 절정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 교회법 - 최기식
최기식은 1980년대 초 광주민중항쟁 관련 수배자와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범인을 숨겨준 혐의로 구속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1983년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대한민국의 천주교 신부이다. - 교회법 - 사도좌 공석
사도좌 공석은 교황의 사망이나 사임으로 성좌가 공석이 된 기간으로, 추기경단이 바티칸을 통치하며 새 교황 선출을 준비하고, 이 기간 동안 성좌 문장 변경, 특별 우표 발행 등 여러 특징이 나타난다. - 기독교의 칭호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기독교의 칭호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며, 공의회를 통해 로마 주교 다음가는 지위를 확보하고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 룸 밀레트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 후 권한이 축소되었고,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제한과 정교회 내부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교구장 주교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직책 명칭 | 교구장 주교 |
로마자 표기 | Episcopus Dioecesanus |
역할 | 특정 교구의 최고 성직자 |
기독교 | |
소속 종교 | 가톨릭 교회, 성공회, 정교회, 루터교 |
임명 | 교황 (가톨릭 교회), 관할 대주교 (성공회), 총대주교 (정교회) |
임기 | 종신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사임 가능) |
관할 구역 | 교구 |
복장 | 주교관, 주교 반지, 주교 지팡이, 가슴 십자가, 수단, 모제타, 로켓, 주케토 |
권한 | 교구 내 모든 사목 활동 감독, 성사 집전, 사제 및 부제 서품 |
의무 | 교구 사제 및 신자들에 대한 사목적 보살핌, 정기적인 교구 방문, 교황에 대한 충성 서약 |
기타 | 주교는 사도의 후계자로 여겨짐 |
2.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장 주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구 내의 모든 이에 대하여 교도직(敎導職), 사제직(司祭職) 그리고 사목직(司牧職)을 수행하며[2][3][4], 업무 보좌를 위한 보좌주교를 둘 수 있고 교구청의 기능을 이용하며 교구 평의회의 자문을 받는다. 교구장 임명은 주교들의 으뜸인 교황의 사도서한을 통하여 전달되며, 정식 발령을 받지 아니한 이가 임하면 교구장 서리가 된다. 교구장은 교회법에 따라 만 75세가 되거나 질병 등의 이유로 직무 수행이 어려울 경우 교황에게 사임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교황의 허락이 있으면 사임한다.
2. 1. 교구장 주교의 권한과 의무
교구 주교[2]는 가톨릭 교회에서 그가 일반 관할권을 갖는 지역 교회(교구)의 사목적 돌봄을 위임받는다.[3] 그는 자신의 교구의 신자들을 가르치고, 다스리고, 성화할 책임이 있으며, 그에게 봉사하는 사제와 부제와 함께 이러한 의무를 공유한다.[4] 교구장 주교는 업무 보좌를 위한 보좌주교를 둘 수 있고 교구청의 기능을 이용하며 교구 평의회의 자문을 받는다. 교구장 임명은 주교들의 으뜸인 교황의 사도서한을 통하여 전달된다. 교구장 주교직에 정식 발령을 받지 아니한 이가 임하면 교구장 서리가 된다. 교구장은 교회법에 따라 연령이 75세가 되거나 질병 등의 이유로 교구장으로서 직무 수행을 하기에 적당하지 못할 경우 교황에게 사임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교황의 허락이 떨어지면 사임하게 된다. 교구장 주교는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단의 구성원으로서 교구 내의 모든 이에 대하여 교도직(敎導職), 사제직(司祭職) 그리고 사목직(司牧職)을 수행한다.2. 2. 보좌 주교
교황청은 교구를 위해 보좌 주교를 임명할 수 있다.[5] 보좌 주교는 특별한 권한을 가지며, 승계권을 갖는다. 교구장 주교는 직무 수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교황청에 한 명 이상의 보좌 주교 임명을 요청할 수 있다.[6]2. 3. 명예 주교 (Emeritus)
교구장 주교나 보좌 주교가 은퇴할 경우, 이전 직함에 "원로"라는 단어가 추가된다. 즉, "…의 명예 대주교", "…의 명예 주교", "…의 명예 보좌 주교"와 같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존 존스, 애니타운의 명예 주교", "제임스 스미스 추기경, 애니시티의 명예 대주교" 등과 같다. 특정 교구의 "명예 주교"라는 용어는 먼저 은퇴한 주교가 오래 생존하는 경우 여러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다. 2007년 《교황 연감》(Annuario Pontificio)에는 여러 명의 명예 주교가 있는 교구로 자라테-캄파나, 비야비센시오, 베르사유, 우루과이아나가 등재되었다. 심지어 타이베이에는 3명의 명예 대주교가 있었다. 동일한 접미사가 로마 주교이자 교황 명예직 베네딕토 16세에게 은퇴 시 적용되었다.3. 성공회
성공회에서는 의회민주주의 전통에 따라 교구의회에서 선거로써 교구장을 정한다. 대한성공회 규정에서는 평신도원과 사제원 모두 2/3 이상의 투표를 받아야 선출되며, 한번에 결론이 나오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실제로 2016년 서울교구장 주교 선거는 5차 투표까지 진행되었다.
대한성공회는 교구장의 정년을 65세로 규정하고 있다.
3. 1. 대한성공회
대한성공회에서는 의회민주주의 전통에 따라 교구의회에서 선거로 교구장을 선출한다. 대한성공회 규정에 따르면 평신도원과 사제원 모두 2/3 이상의 투표를 받아야 교구장으로 선출되며, 한 번에 결정이 나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실제로 2016년 서울교구장 주교 선거는 5차 투표까지 진행되었다.3. 1. 1. 현직 교구장
대한성공회는 교구장의 정년을 65세로 규정하고 있으며, 현재 교구장은 다음과 같다.
4. 동방 정교회
'''아르키에레우스'''(ἀρχιερεύς|아르키에레우스grc, arkhierei|아르히레이ru)는 사제직의 절정으로 여겨지는 교구 주교를 가리키는 그리스어 용어이다.[7] 이 용어는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의 전례 서적에서 로마 전례의 교황 의식에 해당하는 의식에 사용된다. 그리스 교회에서 기혼 사제가 얻을 수 있는 최고 교회 직함인 ''프로토이에레우스''(대사제)와는 다르다.[7]
이 단어는 신약 히브리서에서 "대사제"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히브리서 2:17; 3:1; 4:14,15; 5:1,5,10; 6:20; 7:26,27,28; 8:1,3; 9:7,11,25; 19:11; 13:11).[8]
참조
[1]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1983), canon 376. Quote=Bishops to whom the care of some diocese is entrusted are called diocesan; others are called titular
https://www.vatican.[...]
2008-02-19
[2]
웹사이트
Canon 376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07-27
[3]
웹사이트
Canon 369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07-27
[4]
웹사이트
Canon 381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07-27
[5]
웹사이트
Canon 403 §3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07-27
[6]
웹사이트
Canon 403 §1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07-27
[7]
간행물
Archiereus
[8]
서적
Pioneer and Priest: Jesus Christ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Lutterworth Press
2017-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